안녕하세요. 시진파더입니다
오늘은 육아휴직 거부 하는 사업장 또는 육아휴직 후 퇴사해라 이렇게 말하는 회사를
신고 및 접수하는 고용노동부 모성보호신고센터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아이도 낳아야하고 아이를 키워야하고 피치못할 상황 특히 유치원 이나 초등학교 올라갈 때
정말 육아휴직을 쓰지 않으면 아이를 봐주지 못하는 상황임에도 회사 및 사업장에서 거부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이럴경우 너무 분하고 억울하지만 퇴사를 하게 되고, 실명으로 신고 하다 불이익을 받을 까봐 걱정이 되실텐데
그럴때 이용하는 게 고용노동부 모성보호신고센터 익명신고 입니다.
목차 = 육아휴직 거부 및 퇴사 사례, 모성보호신고센터, 모성보호 익명신고, 모성보호 권리구제, 익명신고 후 불이익 또는 피해
고용노동부 모성보호신고센터 바로 가기
육아휴직 거부 및 퇴사사례
육아휴직은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부모가 자녀를 돌보기 위해 일시적으로 근무를 멈추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출산과 육아를 존중하고 지원하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마련된 것입니다. 그러나 일부 사업장에서는 육아휴직을 신청한 근로자에게 부당한 처우를 하거나, 육아휴직을 거부하거나 방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사례들이 있습니다.
-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퇴사를 종용하거나, 육아휴직 후에는 휴직 전과 같은 업무나 임금을 보장하지 않는 경우
- 육아휴직을 연장하거나,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을 신청하면 퇴사 후 재입사할 것을 권유하거나, 멀리 전보를 보내려는 경우 육아휴직을 신청한 근로자에게 업무를 부여하거나, 육아휴직 중에 연락을 자주 하여 근무 태도나 복귀 의사를 확인하려는 경우
- 육아휴직을 신청한 근로자에게 부정적인 시선이나 폭력, 괴롭힘, 비방 등을 하는 경우
이러한 사례들은 모두 법에 위반되는 행위이며, 근로자는 이에 대해 신고하거나 구제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 거부나 부당한 처우를 당한 근로자는 고용노동부의 온라인 모성보호 익명 신고센터에서 상담 받을 수 있습니다.
모성보호신고센터
모성보호 신고센터는 고용노동부에서 운영하는 신고센터로, 출산휴가나 육아휴직 등 모성보호제도를 미부여하거나, 이행하지 않기 위해 불법/편법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사업장에 대한 신고를 접수하고 처리하는 곳입니다.
모성보호 신고센터는 인터넷, 유선, 방문, 팩스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신고를 받으며,
실명으로 신고가 어려운 경우에는 온라인 ‘모성보호 익명신고센터’에 익명으로도 신고할 수 있습니다.
모성보호 신고센터는 일하는 부모가 출산과 육아를 지원하는 중요한 제도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모성보호 익명신고 (온라인 접수)
모성보호 익명신고란 고용노동부에서 운영하는 신고센터로, 출산휴가나 육아휴직 등 모성보호제도를 미부여하거나, 이행하지 않기 위해 불법/편법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사업장에 대한 신고를 익명으로 접수하고 처리하는 곳입니다.
모성보호 익명신고센터는 고용노동부 누리집 또는 노동포털에서 접수할 수 있으며, 신고내용을 입력하면 관할 지방고용노동청에 배정되어 감독관이 조사하고 개선조치를 취합니다.
모성보호 익명신고센터는 실명으로 신고가 어려운 경우에도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출산과 육아를 지원하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모성보호신고센터 노동포털 바로 가기
고용노동부 노동포털
언제어디서나 맞춤형 노동행정서비스
labor.moel.go.kr
모성보호 권리구제
모성보호 권리규제란 임산부나 출산 후 1년 이내의 여성 근로자에 대해 근로기준법이나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정한 모성보호 제도를 적용하지 않거나, 적용을 방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모성보호 제도에는 산전후휴가, 육아휴직, 출산육아지원금, 시간외 야간 휴일근로 제한, 보건상 유해 위험한 사업에의 사용금지 등이 있습니다.
모성보호 권리규제는 여성의 건강과 권리를 침해하고, 출산과 육아를 지원하는 문화를 저해하는 행위로서 법에 의해 처벌될 수 있습니다.
모성보호 권리규제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의 홈페이지나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모성보호 익명신고 신고자 불이익 또는 피해
모성보호 익명신고를 하더라도 불이익이나 피해를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신고자의 신원을 보호하며, 신고된 사례에 대해 조사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신고자의 익명성을 유지하면서 진행되므로, 신고자가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보호됩니다.
만약 신고 후에도 불이익을 받는 경우, 추가적인 신고나 법적 조치를 통해 구제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전혀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육아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중이염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종류 단계 별 치료 전부 정리 ! (0) | 2023.11.07 |
---|---|
구글패밀리링크 설치 및 해제 그리고 사용방법 과 특징 총 정리 ! (0) | 2023.11.06 |
신생아특례대출 장점 및 구입자금 전세자금 그리고 소득 기준 및 신청 방법 신청서류 총 정리 !! (1) | 2023.10.27 |
국민행복카드 신청 및 발급 그리고 바우처 그리고 카드사 및 혜택 총 정리 !! (0) | 2023.10.25 |
제대혈 보관 및 비용 그리고 치료 기증 자폐 전부 총 정리 !! (1) | 2023.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