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일상.

자궁선근증 원인 및 증상 그리고 치료 그외 임신 하이푸 수술 총 정리 !!

by sijin father 2024. 3. 14.

안녕하세요. 시진파더입니다.

오늘 소개는 자궁선근증에 대하여 자세하고 정확하게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자궁선근증은 자궁 내막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자궁 근육층 안으로 자라는 질환입니다.

이 상태는 골반 통증, 과다한 생리 출혈 및 생리통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여성의 일상생활과 직장 생활, 심지어는 정서적 건강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궁선근중에 대한 어느정도 정보는 알고 계시는게 많은 도움됩니다.

자궁선근증 의학정보 바로가기

 

자궁선근증

자궁근층 내로 자궁내막 샘조직과 실질조직이 침투하는 질환. [정의] 정상위치를 벗어나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자궁내막 조직에 의해서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질환을 말한다. 자궁으로 비정상

terms.naver.com

목차

    자궁 그림사진_
    자궁 그린 사진

    자궁선근증 원인

    자궁선근증이 생기는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두 가지 주요 가설이 있는데

    • 하나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근층으로 스며들어 생긴다는 것이고,
    • 다른 하나는 자궁근층의 조직이 변화하여 자궁내막조직과 유사해진다는 것입니다

    자궁선근증 증상

    자궁선근증의 증상으로는 빈혈을 동반한 생리 과다, 생리통, 장기간 지속되는 골반통 등이 있습니다.

    • 일부 여성은 하복부에서 만져지는 덩어리로 인해 병원을 찾기도 합니다.
    • 40~50대 여성에게 많이 볼 수 있으며, 이 중 약 1/3은 별다른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자궁선근증 치료

    자궁선근증의 가장 확실한 치료법은 자궁 전체를 절제하는 외과적 수술입니다.

    그러나 자궁 절제를 원하지 않을 경우,

    • 생리 과다나 생리통은 호르몬 분비 자궁 내 장치를 삽입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 경구 피임약이나 진통제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자궁선근증 임신

    자궁선근증은 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연구에 따르면 자궁선근증이 있는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임신 확률이 낮고,
    • 유산율은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자궁선근증은 임신율을 낮추고 유산율을 높여 임신을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

    자궁선근증 수술

    자궁선근증의 수술적 치료로는 자궁적출술이 있으며, 이는 완치를 위한 방법입니다.

    • 최근에는 병변 부위만 최소한도로 절제하는 보존적 수술도 있습니다. 하이푸(HIFU)라는 집속 초음파 치료 방법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하이푸(HIFU,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는 자궁선근증 치료를 위한 비수술적 방법으로,

    고강도 초음파를 사용하여 병변을 선택적으로 괴사시키는 치료법입니다.

    이 방법은 정상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자궁 내 병변만을 정밀하게 타겟팅하여 치료합니다.

    하이푸 시술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비침습적: 직접적인 절개 없이 시술이 가능하여 회복 시간이 빠르고, 흉터가 남지 않습니다.
    • 실시간 모니터링: 시술 중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정확도가 높고, 환자의 불안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마취 불필요: 대부분의 경우 별도의 마취 없이 시술이 가능합니다.

    시술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초음파 이미지를 통해 병변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히 파악합니다.
    • 초음파 에너지를 집중하여 병변 부위에만 고온을 발생시켜 괴사시킵니다.
    • 괴사된 조직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몸에서 배출됩니다.

    치료 후에는 일상 생활로의 빠른 복귀가 가능하지만, 시술 후 일정 기간 동안은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이푸 시술은 자궁 내막을 보호하면서 임신 계획이 있는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으며, 잔여 병변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하이푸 시술은 자궁선근증의 크기, 위치, 환자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적용 가능 여부가 결정되므로, 시술을 고려하고 있다면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