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일상.

지적전산자료조회 및 결과 그리고 결과서 내용 및 발급방법 총 정리 !

by sijin father 2023. 11. 11.

안녕하세요. 시진파더입니다.

오늘 소개는 한번은 필수로 알아보시는 지적전산자료조회에 대하여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지적전산자료는 토지의 소유권, 이용계획, 조상 땅 찾기 등에 필요한 서류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개인파산이나 개인회생을 신청할 때는 재산을 파악하기 위해 법원에 지적전산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

국가공간정보포털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목차

    1. 지적전산자료조회 및 조회방법
    2. 지적전산자료결과 및 결과서
    3. 지적전산자료 결과서 발급방법
    4. 지적전산자료 결과서 내용

지적전산자료조회_땅사진
농사짓는 땅

지적전산자료조회 및 방법

지적전산자료조회란 토지의 소재, 지목, 지번, 면적, 공시지가 등을 컴퓨터로 처리한 자료를 인터넷이나 방문을 통해 확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적전산자료조회를 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으로 조회하는 방법: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회원가입 후, 내토지찾기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내토지찾기 서비스는 토지의 소유자, 소재지, 면적, 지목, 지번, 공시지가 등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토지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확인하거나, 토지의 경계선을 그릴 수도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조회한 지적전산자료는 인쇄하거나 PDF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http://www.nsdi.go.kr/

 

www.nsdi.go.kr

  • 방문하여 조회하는 방법: [정부24]에서 개인 신청자용 지적전산자료 이용신청서(방문)을 다운로드하고, 해당 시.군.구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도·도에 있는 국가공간정보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방문하여 조회한 지적전산자료는 발급받은 증명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문하여 조회하는 경우에는 신분증과 토지의 소유자와의 관계를 증명할 수 있는 서류가 필요합니다.

지적전산자료결과 및 결과서 

지적전산자료결과 및 결과서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지적전산자료결과는 토지의 소유권, 이용계획, 조상 땅 찾기 등에 필요한 서류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지적전산자료결과는 인터넷이나 방문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지적전산자료결과서란 지적전산자료결과를 인쇄하거나 PDF 파일로 저장한 문서를 말합니다. 지적전산자료결과서는 토지의 소유자, 소재지, 면적, 지목, 지번, 공시지가 등을 표시하고, 토지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보여줍니다. 지적전산자료결과서는 토지의 소유권, 이용계획, 조상 땅 찾기 등에 필요한 서류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지적전산자료결과서 발급방법

지적전산자료 결과서 발급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지적전산자료 결과서 발급을 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으로 발급받는 방법: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회원가입 후, 내토지찾기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내토지찾기 서비스에서 토지의 소유자, 소재지, 면적, 지목, 지번, 공시지가 등을 조회한 후, 인쇄 버튼이나 PDF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지적전산자료 결과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발급받은 지적전산자료 결과서는 토지의 소유권, 이용계획, 조상 땅 찾기 등에 필요한 서류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 방문하여 발급받는 방법: [정부24]에서 개인 신청자용 지적전산자료 이용신청서(방문)을 다운로드하고, 해당 시.군.구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도·도에 있는 국가공간정보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방문하여 신청한 후, 지적전산자료 결과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방문하여 발급받은 지적전산자료 결과서는 토지의 소유권, 이용계획, 조상 땅 찾기 등에 필요한 서류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방문하여 발급받는 경우에는 신분증과 토지의 소유자와의 관계를 증명할 수 있는 서류가 필요합니다.

지적전산자료결과서 내용

지적전산자료 결과서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토지의 소유자: 토지의 법적인 소유자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표시합니다. 토지의 소유자는 토지의 처분, 증여, 상속 등의 권리를 가집니다.
  • 토지의 소재지: 토지의 위치를 시.군.구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도·도와 읍.면.동 리로 표시합니다. 토지의 소재지는 토지의 행정구역을 나타냅니다.
  • 토지의 면적: 토지의 크기를 제곱미터(m²)로 표시합니다. 토지의 면적은 토지의 가치나 이용계획에 영향을 줍니다.
  • 토지의 지목: 토지의 종류를 표시합니다. 토지의 지목은 토지의 이용목적이나 성질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전(田)은 농경지, 답(畓)은 논, 임야(林野)은 산림지, 대(代)는 과수원, 공장용지(工廠用地)는 공장을 건설할 수 있는 토지 등을 의미합니다.
  • 토지의 지번: 토지의 구분을 위해 부여된 번호를 표시합니다. 토지의 지번은 토지의 식별을 위해 사용됩니다. 토지의 지번은 대지(大地)번호와 소재(小在)번호로 구성됩니다. 대지번호는 토지의 위치를 나타내고, 소재번호는 토지의 형상을 나타냅니다.
  • 토지의 공시지가: 토지의 시장가격을 반영한 토지의 가치를 표시합니다. 토지의 공시지가는 토지의 취득세, 재산세, 증여세, 상속세 등의 세금을 산정할 때 사용됩니다. 토지의 공시지가는 매년 1월 1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 토지의 위치: 토지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보여줍니다. 토지의 위치는 토지의 형상, 경계, 주변환경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토지의 위치는 지도의 축척에 따라 다르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