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진파더입니다.
오늘 소개는 한번정도는 겪어보았을 불법주정차에 관하여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불법주정차란 주차와 정차가 허용되지 않는 곳에 차량을 세우는 행위를 말합니다.
불법주정차의 시간, 신고, 과태료, 조회에 관한 정보와 국민안전고 신고방법 그리로 추가로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포상금 및 마일리지에 대해 전부 정리해보겠습니다.
불법주정차 조회 위택스 바로가기
위반 사실부터 2~3일이 지난 후 조회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목차
- 불법주정차 시간
- 불법주정차 신고
- 불법주정차 신고방법 (안전신문고)
- 불법주정차 과태료
- 불법주정차 조회
- 불법주정차 포상금 및 마일리지
불법주정차 시간
불법주정차 시간은 주차와 정차가 금지된 구역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황색실선, 황색복선, 소화전, 어린이 보호구역, 버스정류장, 횡단보도 등은 24시간 불법주정차 단속 대상입니다. 단, 황색실선의 경우 일부 지역에서는 주말이나 야간에 주차가 허용될 수 있으니 표지판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불법주정차 신고 및 방법
불법주정차 카메라 신고란 불법주정차를 단속하는 CCTV나 이동형 차량을 이용하여 불법주정차된 차량을 촬영하고 과태료를 부과하는 것을 말합니다.
불법주정차 카메라 신고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할 수 있습니다.
- 앱을 이용하는 방법: 안전신문고 앱을 다운로드하고, 불법주정차 신고 메뉴를 선택하고, 불법주정차 유형을 선택하고, 1분 이상 간격으로 동일한 각도로 촬영한 사진 2장 이상을 올리면 됩니다. 휴대전화 번호와 인증번호를 입력하고 제출하면 신고가 완료됩니다.
- 교통위반신고 및 단속조회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 교통위반신고 및 단속조회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교통법규 위반 시민신고를 선택하고, 성명, 휴대전화번호, 신고 차량번호, 위치 입력과 함께 사진을 첨부하면 됩니다.
- 다산콜센터에 유선전화나 문자로 신고하는 방법: 국번없이 120번으로 전화하거나 문자를 보내면 됩니다. 신고를 마치게 되면 담당 구역 행정구청 담당자가 파견되어 단속하거나 견인을 하게 됩니다. 다산콜센터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불법주정차 신고방법 (안전신문고)
안전신문고는 불법주정차를 쉽고 빠르게 신고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입니다.
불법주정차를 안전신문고로 신고하는 순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라하시면 됩니다.
- 안전신문고 앱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합니다. [안전신문고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불법주정차 신고 메뉴를 선택합니다. 화면 하단의 신고하기 버튼을 누르고, 불법주정차를 선택하면 됩니다.
- 불법주정차 유형을 선택합니다. 황색실선, 황색복선, 소화전, 어린이 보호구역, 버스정류장, 횡단보도 등 불법주정차가 가능한 구역을 선택하면 됩니다.
- 불법주정차된 차량을 촬영합니다. 1분 이상 간격으로 동일한 각도로 촬영한 사진 2장 이상을 올리면 됩니다. 사진에는 차량번호판, 주변 표지판, 주소 등이 잘 보여야 합니다.
- 휴대전화 번호와 인증번호를 입력합니다. 휴대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인증번호 받기 버튼을 누르면 문자로 인증번호가 발송됩니다. 인증번호를 입력하고 인증하기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 신고를 제출합니다. 신고하기 버튼을 누르면 신고가 완료됩니다. 신고가 수용되면 신고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적립된 마일리지로 소정의 기념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불법주정차 과태료
불법주정차 과태료는 불법주정차 구역과 시간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이 적용됩니다.
- 황색실선, 황색복선, 버스정류장, 횡단보도 등에서는 4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단, 황색실선의 경우 일부 지역에서는 주말이나 야간에 주차가 허용될 수 있으니 표지판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 소화전에서는 8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8만원(2021년 5월 11일부터는 12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단, 평일 8시부터 20시까지만 적용됩니다.
- 인도 위 주차에서는 4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단, 8시부터 20시 또는 24시간(지자체별 다름)만 적용됩니다.
- 사유지 내 주차에서는 2023년 2월부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과태료의 금액은 지자체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과태료는 사전 자진 납부하면 20% 경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불법주정차 조회
불법주정차 조회는 위텍스, 정부 24, 이파인 등의 사이트에서 할 수 있습니다.
- 본인 정보(차량번호 조회)를 입력하면 주정차 위반 사실과 과태료 조회와 납부가 가능합니다. 위반 사실로부터 2~3일 지난 후 조회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불법주정차 포상금 및 마일리지
불법주정차 신고하면 마일리지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 안전신문고 앱을 통해 불법주정차 신고를 하고, 신고가 수용되면 신고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 적립된 마일리지로 소정의 기념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안전신문고 우수자로 선정되면 각 지자체에서 포상금도 지급할 수 있습니다.
- 불법주정차 신고는 하루에 3회로 제한되었으나 현재는 제한이 없습니다.
불법주정차 신고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안전신문고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육아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검 황색종 제거 그리고 레이저 치료 및 병원 그외 솔직한 후기 ! (0) | 2023.11.13 |
---|---|
쿠팡 체험단 신청 및 신청방법 그리고 당첨 및 탈락 그외 리뷰 시간 고가 (0) | 2023.11.12 |
교통위반 조회 및 벌점 그리고 과태료 범칙금 납부 그외 신고 포상금 총 정리 ! (0) | 2023.11.11 |
지적전산자료조회 및 결과 그리고 결과서 내용 및 발급방법 총 정리 ! (1) | 2023.11.11 |
고속도로 하이패스 통행료 미납 조회 및 납부 그리고 부가통행료 정리 (0) | 202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