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진파더입니다.
오늘 소개는 청년 도약계좌에 대하여 자세하고 꼼꼼하게 소개 해드리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 (60개월)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정부24 청년도약계좌 바로가기
목차
청년도약계좌 내용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과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 (60개월)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일시납입도 가능합니다 .
청년도약계좌는 청년 희망적금 만기 시에 연계가 가능하며, 만기수령금으로 납입 하시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소득과 가구소득에 따라 다른 정부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조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려면
- 나이가 19세에서 34세 이하여야 합니다. 병역 이행한 경우 최대 6년을 제외해줍니다.
- 개인소득은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어야 하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은 6,3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 육아휴직급여도 가입요건 소득에 포함되며, 육아휴직자도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합니다.
- 가구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라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되어야 합니다.
-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 (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아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및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초 신청을 받습니다.
세부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2024년 1월의 신청기간은 1월 2일부터 12일까지였습니다.
- 신청 후에는 가입 요건을 확인하는 기간이 있습니다. 1인가구는 가족들의 소득확인이 필요하지 않아서 1월 18일부터 계좌개설이 가능했습니다.
- 1인 가구가 아닌 경우는 1월 29일부터 2월 8일까지가 개설 기간이였습니다.
- 신청 방법은 은행을 선택한 후 은행 앱을 통해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신청하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및 서류
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매월 초에 비대면으로 가입 신청을 합니다.
신청 후에는 가입 요건을 확인하는 기간이 있습니다.
1인 가구는 가족들의 소득확인이 필요하지 않아서 신청 다음주부터 계좌개설이 가능합니다.
1인 가구가 아닌 경우는 신청 다음주부터 3주 후까지가 개설 기간입니다.
- 신청 방법은 은행을 선택한 후 은행 앱을 통해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신청하면 됩니다.
- 서류 제출은 온라인으로 하거나 가까운 지정 은행 지점에 직접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제출한 서류가 검토되고 승인되면, 청년도약계좌가 개설되며, 이후 금리 혜택 및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필요 서류
- 신분증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유효한 신분증을 제출해야 합니다.
- 소득 증명 서류 : 근로소득자는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사업소득자는 사업자등록증과 세금계산서, 기타소득자는 기타소득 증명서 등을 제출해야 합니다.
- 가구소득 증명 서류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가구원의 소득 증명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 (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취급기관 자율결정으로, 3년 고정, 2년 변동으로 적용됩니다.
각 은행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최고 금리는 동일하게 6%입니다. 편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은행을 선택하여 가입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양한 은행들의 금리를 비교하고 싶다면, 은행별 금리 비교하기를 통해 간편하게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이자
청년도약계좌의 이자는 정부기여금과 은행이자로 구성됩니다.
- 정부기여금은 청년이 납입하는 금액과 소득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지원액이 더 커지며, 청년이 납입하는 금액이 많을수록 정부의 지원이 더욱 증가하는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 은행이자는 은행별로 다르게 적용되며, 3년 고정, 2년 변동으로 적용됩니다. 최고 금리는 6%입니다.
- 청년도약계좌의 이자소득은 비과세로 인정됩니다. 전년도 소득 확정 전, 가입자의 경우에도 모두 비과세로 인정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일시납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납입하는 방식이 기본이지만, 일시납입도 가능합니다.
일시납입은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자가 가능하며, 일시납입 시 예금과 똑같은 효과로 더 많은 이자를 받으면서 장기적인 자산형성이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만기는 똑같이 5년 입니다.
- 분납 하는 것보다 일시납이 이자가 약 55만원정도 더 차이난다고 합니다.
- 일시납 금액은 최대 70만원 x 18개월 = 1,260만원 입니다.
청년도약계좌 환승
청년도약계좌 환승이란, 연계라고도 불리우며 청년희망적금의 만기금액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납입하고, 정부기여금과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는 것을 말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2년 만기이고, 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이므로, 환승을 통해 장기적인 자산형성을 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환승을 하려면,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3개월 이내에 신청하고,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또한, 신청자에게 청년희망적금 예상 만기수령금, 일시납입시 기대수익 등을 미리 알려줍니다.
환승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3개월 이내에 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 신청을 합니다.
- 신청 후에는 가입 요건을 확인하는 기간이 있습니다. 1인 가구는 가족들의 소득확인이 필요하지 않아서 신청 다음주부터 계좌개설이 가능합니다. 1인 가구가 아닌 경우는 신청 다음주부터 3주 후까지가 개설 기간입니다.
- 신청 방법은 은행을 선택한 후 은행 앱을 통해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신청하면 됩니다. 신청자는 개인 신분증, 소득 증빙 서류 등 필요한 문서를 준비해야 합니다.
- 서류 제출은 온라인으로 하거나 가까운 지정 은행 지점에 직접 제출할 수 있습니다. 제출한 서류가 검토되고 승인되면, 청년도약계좌가 개설되며, 이후 금리 혜택 및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육아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음법칙 여권 재발급 및 개명 여권 재발급 준비물 및 후기 (5) | 2024.02.28 |
---|---|
그랩 회원가입 및 카드등록 그리고 사용법 그외 취소 환불 총 정리 ! (0) | 2024.02.26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및 서류 그리고 은행 그외 조건 전환 소득 전부 총 정리 !! (0) | 2024.02.21 |
마키노차야 가격 및 할인 그리고 블랙31 ?? 그외 멤버십 카드 혜택 총 정리 ! (0) | 2024.02.19 |
삼성동 크랩52 가격 및 할인 그리고 예약 방법 그외 주차 전부 총 정리 ! (1) | 2024.02.17 |